국가별 비자 체류 제도

각국 전자 비자 체류 제도 신청 절차부터 완벽 비교 (2025년 최신 기준)

news-pinecone 2025. 7. 8. 11:50

전 세계적으로 2025년 현재, e-Visa(전자 비자) 시스템은 발 빠르게 확산되어 가는 추세입니다. 이제는 비자 발급을 위해 대사관에 방문하거나 수일간 기다릴 필요 없이,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이메일로 비자를 수령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전자 비자란, 국가가 외국인을 위한 입국 허가를 디지털 방식으로 발급하는 비자로, 온라인 신청, 수수료 결제, 전자승인서 수령의 단계를 거쳐 종이비자 없이 입국장에 직접 출력본만 제시하면 입국이 허용됩니다. 하지만 나라마다 시스템 편의성, 승인 속도, 수수료, 입국 허용 기간 등에는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인을 포함한 다수 외국인에게 e-Visa를 제공하는 주요 국가들을 선정하여, 각국의 신청 방식, 처리 시간, 체류 기간, 비용, 특이사항 등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비교해드립니다.

 

인도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목적별로 나뉜 대규모 전자 비자 시스템

인도는 e-Visa를 가장 광범위하게 운영하는 국가 중 하나로, 관광, 비즈니스, 의료, 학술 방문 등 총 5개 유형의 전자 비자를 제공합니다.

신청 사이트: https://indianvisaonline.gov.in

체류 허용 기간: 관광은 30일~5년, 복수입국 가능

신청 소요 기간: 3~7일

비용: USD 10~80 (국가 및 체류 기간에 따라 다름)

특이사항: 여권 스캔본, 얼굴 사진 업로드 필수

e-Visa 승인 후 PDF를 출력해 지참하면 되며, 최대 5년짜리 복수입국 비자도 제공하는 점에서 인도는 장기 여행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베트남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90일 복수입국 e-Visa로 전환된 체류 제도

베트남은 2023년부터 e-Visa를 전면 확대하여 2025년 현재 한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게 90일 복수입국 e-Visa를 제공합니다.

신청 사이트: https://evisa.xuatnhapcanh.gov.vn

체류 허용 기간: 최대 90일, 복수입국 허용

신청 소요 기간: 평균 3~5일

비용: USD 25 (단수), USD 50 (복수)

특이사항: 입국 지정 공항 사전 선택 필수

도착비자보다 더 간편하고 명확한 입국 루트로 자리 잡았으며, 장기 여행자, 디지털 노마드 모두에게 유리한 제도로 평가됩니다.

 

캄보디아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사용자 친화적 e-Visa 시스템과 빠른 승인 속도

캄보디아는 2006년부터 e-Visa를 운영한 선구국가로, 지금까지도 가장 간편하고 빠른 전자 비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청 사이트: https://www.evisa.gov.kh

체류 허용 기간: 30일

신청 소요 기간: 보통 3 영업일 내

비용: USD 36 (비자 30 + 수수료 6)

특이사항: 입국 가능한 공항 및 국경 확인 필수

실제 체류자들의 후기에 따르면 승인 속도는 평균 48시간 이내이며, 관광·비즈니스 방문 모두 가능해 짧은 기간의 동남아 체류에 유용한 루트입니다.

 

터키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전 세계 수십 개국 대상, 즉시 승인 시스템

터키는 e-Visa 제도가 매우 잘 정비된 국가로, 한국인은 무비자 입국 가능하지만 타국 국적자들은 e-Visa 발급을 통해 90일 체류가 허용됩니다.

신청 사이트: https://www.evisa.gov.tr

체류 허용 기간: 최대 90일

신청 소요 기간: 대부분 신청 후 5분 내 승인

비용: 국가별 상이 (대개 USD 20~60)

특이사항: 복수입국 가능, 실시간 승인

가장 큰 장점은 절차가 매우 간단하고 실시간으로 승인서가 이메일로 도착한다는 점이며, 여권만 있으면 누구나 손쉽게 발급받을 수 있어 유럽·중동권 진입 전 중간 경유국으로도 자주 활용됩니다.

 

스리랑카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ETA 제도 기반의 e-Visa로 전환 완료

스리랑카는 2025년 기준 ETA(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제도를 완전히 통합한 형태의 e-Visa 운영 국가입니다.

신청 사이트: https://www.eta.gov.lk

체류 허용 기간: 30일 (2회 입국 가능)

신청 소요 기간: 평균 24~72시간

비용: USD 50 (관광), USD 60 (비즈니스)

특이사항: 6개월 내 사용 가능, 연장 옵션 존재

특히 도착 전 미리 ETA 승인을 받아두면 도착 후 이민국에서의 대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집트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아프리카·중동권에서 가장 발전된 e-Visa 국가

이집트는 2017년부터 e-Visa 시스템을 운영해 왔으며, 관광 또는 상용 목적의 단기 체류자에게 매우 유리한 제도를 제공합니다.

신청 사이트: https://www.visa2egypt.gov.eg

체류 허용 기간: 단수입국 30일, 복수입국 180일

신청 소요 기간: 5~7일

비용: USD 25 (단수), USD 60 (복수)

특이사항: 신청 시 여권 잔여 유효기간 6개월 이상 필수

관광지 중심의 국가 특성상, e-Visa는 입국자 50% 이상이 활용하고 있으며 유럽·아시아 국적자 대부분이 이용 가능한 상태입니다.

e-비자 체류 제도 비교

 

캐나다 전자 비자 체류 제도 – ETA 시스템이 사실상 e-Visa 기능 수행

캐나다의 ETA는 전통적인 비자보다는 ‘전자입국 허가’에 가까우나, 그 구조와 기능이 대부분 단기 관광·상용 체류를 허가하는 e-Visa와 유사합니다.

신청 사이트: https://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s/visit-canada/eta.html

체류 허용 기간: 1회 입국 시 6개월

신청 소요 시간: 10분 내 실시간 승인

비용: CAD 7

특이사항: 5년간 유효, 여권 유효기간에 따라 변경됨

한국인은 ETA만으로 6개월 체류가 가능하며, 가장 저렴하고 빠르게 처리되는 e-Visa 유형으로 꼽힙니다.

 

전자 비자 체류 제도 비교 요약

국가 체류 가능 기간 신청 소요 시간 비용 (USD 기준) 복수입국 여부 주요 특징
인도 최대 5년 3~7일 10~80 가능 관광/비즈니스/의료 e-Visa 분류 있음
베트남 90일 3~5일 25~50 가능 2023년부터 복수입국 확대
캄보디아 30일 2~3일 36 단수 관광 특화, 승인 속도 매우 빠름
터키 90일 즉시 (5분 내) 20~60 가능 실시간 승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우수
스리랑카 30일 24~72시간 50~60 제한적 ETA 기반, 관광·비즈니스 모두 가능
이집트 30~180일 5~7일 25~60 가능 단수/복수 옵션 분리
캐나다 6개월 실시간 (10분) 7 (CAD) 다회입국 ETA 구조, 여권 유효기간 연동

 

e-Visa는 속도, 비용, 목적 모두 고려해야 하는 시대

전자 비자는 이제 단순히 ‘빠른 비자’가 아니라 여행·비즈니스·장기 체류 전략을 위한 핵심 도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도는 다양한 목적에 대응 가능한 폭넓은 e-Visa 구조, 베트남은 동남아에서 가장 실용적인 복수입국 체류 구조, 터키와 캐나다는 속도·비용 면에서 가장 우수한 실시간 e-Visa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제 비자 신청의 과정과 편리함은 여행 전체의 질과 효율성을 결정짓게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e-Visa 대상 국가를 목적과 체류 기간, 예산에 맞춰 전략적으로 선택한다면 비자 문제 없이 자유로운 장기 이동 생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 글이 현실적인 도움이 되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